본문 바로가기
영상편집

다빈치 리졸브의 다양한 화면 전환 효과 활용하기

by the day 2021. 8. 12.

다빈치 리졸브 화면 전환 효과

화면 전환이 필요한 이유

영상을 제작하다 보면 촬영이 한 공간에서 쭉 이어지는 경우는 없습니다. 여러 공간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촬영을 한 다음 이어 붙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이어 붙이다 보면 전혀 다른 영상이 설명을 위해 들어가기도 갑자기 공간이 옮겨지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최근 유행하는 브이로그 영상의 경우 매일매일 촬영이 이어지고 그 영상 들을 모아 붙인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영상을 쭉 이어 붙여놓으면 다른 영상으로 넘어갈 때 굉장히 부자연스러운 경우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물론 탄탄한 영상 구성과 대본이 있다면 드라마나 영화처럼 전환 효과 없이도 어색하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유튜브 영상의 경우 영상과 영상 사이에 화면 전환 효과를 넣어 극적인 순간을 강조하거나 부드럽게 전환되도록 하여 시청자로 하여금 편안함과 영상미를 느끼게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외에도 제가 활용하는 방법은 영상의 중간에 사진이 들어간 경우 새롭게 나오는 사진이 점점 커지게 만들어 지겨움을 덜어주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영화처럼 영상을 겹치게 만들어 영상이 뒤집히는 효과를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 같은 방법은 조금 어려운 방법이기 때문에 충분한 연습이 필요한 전환 효과이기도 합니다.

화면 전환 효과 활용방법

다빈치 리졸브에서 화면 전환 효과를  적용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왼쪽에 위치한 toolbox의 video transitions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굉장히 많은 전환 효과가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하나씩 확인해보며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모든 편집창 효과를 넣어볼 필요 없이 원하는 효과를 마우스로 클릭해 활성화한 뒤 마우스를 다시 효과 위에 올려두면 영상 시청 화면에서 효과의 샘플을 보여줍니다. 각종 효과를 적용하기 전에 미리 보고 마음에 드는 효과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흐려지기, 겹치기부터 시작해서 화면이 네모 모양으로 사라지거나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더해지는 등 영화와 같은 전환 효과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효과가 결정되었다면 화면 전환 효과를 마우스로 잡은 상태에서 편집창으로 끌어다 두면 됩니다. 단, 편집하는 영상의 위에 전환 효과를 위치시켜야 효과가 나타납니다. 영상위에 전환 효과의 무늬가 그림자처럼 겹쳐지게 되며 적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영상을 만들어 업로드하면서 제가 많이 사용하게 되는 효과는 사실 몇 가지 되지 않습니다. 매번 비슷한 주제의 영상을 만들고 있기 때문에 활용의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제가 좋아하는 효과가 생기기까지 고민하고 다양하게 적용해보았습니다. 여러분들도 아래 제 설명을 보기 전 편견 없이 여러 가지 효과를 다양하게 활용해보시면서 마음에 드는 효과를 결정하시면 좋겠습니다. 제가 자주 사용하는 효과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cross dissolve: 영상의 앞뒤 화면을 겹치게 교차로 넣으면서 부드럽게 전환되도록 하는 효과입니다. 앞뒤가 끊어짐이 없고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제가 브이로그를 촬영 후 편집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다만 특별할 것이 없는 효과이기 때문에 무난해 영상미를 높여주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인 사용법과 같이 편집창에서 앞뒤로 딱 붙어있는 영상위에 전환 효과를 올려둡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편집창에는 보이지지 않지만 앞뒤로 겹쳐지는 만큼의 여분의 영상이 있어야 자연스럽다는 것입니다. 만약 남는 시간이 없는 영상을 사용한다면 넣을 수 없게 되거나 여분의 영상이 있는 곳에만 전환 효과가 겹쳐지기 때문에 겹쳐지는 전환 효과가 약하거나 흐려지기만 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blur dissolve: 영상의 사이를 블러 처리해주는 것입니다. 생각해보면 굉장히 어색할 것 같지만 영상을 실제로 확인해보시면 영상이 살짝 흐려졌다가 선명해지는 정도로 보입니다. 영상의 중간에 가우시안 효과가 들어간 것입니다. 이것은 영상을 편집하면서 앞뒤의 영상이 여의지 않거나 살짝의 전환의 느낌만 영상에 나타내고 싶을 때 사용하게 됩니다. 어디서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니 적용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